본문 바로가기
약초 정보

꽃과 잎이 따로 피는 꽃무릇(석산)

by 공실쓰 2022. 1. 10.
꽃무릇(석산) 특징

꽃무릇은 잎이 있을 땐 꽃이 없고

꽃이 있을 땐 잎이 없어, 꽃과 잎이 서로를 그리워한다고 하여

'상사화'라는 이름을 가졌다.

 

청록색의 가늘고 긴 잎이 마치 까치무릇(산자고) 같고

긴 꽃대 끝에 핀 여섯 잎 붉은 꽃은 향기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꽃무릇은 남부 지역 등의 절이나 암자에서

흔히 심는 수선화과의 여러해살이 풀이다.

비늘줄기는 넓은 타원형이고, 지름은 2.5~3.5cm 정도로

겉껍질은 검은 색이다.

 

9~10월에 잎이 없어진 비늘줄기에서

꽃줄기가 나와 높이 30~50cm 정도 자라며 커다란 꽃이

우산 모양으로 달린다.

 

 

꽃무릇(석산) 효능
관절 건강 및 항암 효과 : 식중독을 비롯한 후풍, 종기, 종양 등으로 인한 각종 관절통에 효능이 있으며 항암 실험을 통해 간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거담 효과 : 가래가 끓는 기침이나 가래가 많은 천식 등에 사용하면 좋다. 알칼로이드 유독 성분이 들어 있어 거담제로 많이 활용한다.
신경 안정 효과 : 정신적, 육체적 무리에 의해 신경이 예민해져 여러 가지 헛것에 들려 감정의 기복이 심할 때 신경을 안정시켜주는데 도움이 된다.

 

 

꽃무릇(석산) 성분

꽃무릇은 땅밑에 '석산' 이라 불리는 비늘 줄기가 있는데

이 것을 가을 이후에 채취하여 건조 시켜 약으로 사용한다.

 

맛은 매우면서도 달고 특이한 마늘 냄새가 나며

비교적 뜨거운 성질을 가지고 있다.

 

꽃무릇에는 호몰리코린, 리코레닌, 타제틴, 퓨돌리코린, 갈란타민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항암 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리코리시디놀 등이 함유되어 있다.

 

 

꽃무릇(석산) 먹는방법
식중독이나 가래가 많을 때 : 꽃무릇 2~4g을 끓여 먹는다.
꽃무릇은 독초이기 때문에 처방없이 함부로 먹지 않는 것이 좋다.

 

 

꽃무릇(석산) 주의사항

꽃무릇은 독초이기 때문에 전문의의 처방없이

함부로 먹지 않도록 해야한다.

 

꽃무릇은 내복을 하기 보다는 잘 빻아서

환부에 붙이거나 끓인 물로 씻는 등

주로 외용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 좋다.

댓글